삽더하기실수

ExternalName 본문

K8s

ExternalName

삽수 2024. 3. 8. 14:09
반응형

ExternalName 이란 클러스터 내부의 Pod가 외부 서비스에서 도메인 이름을 통해 접근하는데 사용된다.

즉. 외부에서 사용자가 접근 하는 방법인 도메인이라기 보다는 개발자나 관리자가 접근하기 쉽도록 하는 도메인이라고 생각한다.

ext-url-1.yml

apiversion: v1
kind: Service
metadata:
  name: ex-url-1
  namespace: default
sepc:
  type: ExternalName
  externalName: sysnet4admin.github.io

 

ext-url-2.yml

apiversion: v1
kind: Service
metatdata:
  name: ex-url-2
  namespace: default
sepc:
  type: ExternalName
  externalName: k8s-edu.github.io

 

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한뒤 svc로 정상적으로 올라온 것을 확인한다.

 

"kubectl run net --image=sysnet4admin/net-tools-ifn" 를 사용하여 pod에서 해당 ExternalName svc가 정상 동작인지 확인하자

 

net-tools-ifn 이란?
네트워크 관련 유틸리트를 모아놓은 패키지로, 리눅스 기반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.
! 여기서 나는 sysnet4admin분의 강의를 들으면서 진행하였기 해당 강사분이 만들어둔 net-tools-fin 파드를 사용하였다.

 

 

실행 후 정상적으로 파드가 올라온 것을 확인 한뒤 파드에 접근해서 해당 도메인을 검색해보자

확인 결과 도메인을 등록해 주지 않았는데도 ExternalName을 통해 해당 조회시 정상적으로 ip가 반환 되는 것을 알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반응형

'K8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인그레스(Ingress)  (0) 2024.03.18
엔드포인트  (0) 2024.03.18
Headless  (1) 2024.03.08
Loadbalancer  (0) 2024.03.08
NodePort  (0) 2024.03.08